[한섬칼럼] 생분해 봉투 사용 금지만이 해법인가
[한섬칼럼] 생분해 봉투 사용 금지만이 해법인가
  • 정정숙 기자 / jjs@ktnews.com
  • 승인 2022.10.27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네소타 트윈스 팬, 용기·음식 쉽게 버려
폐기물전환율 높고 생분해 분리 체계 갖춰

PLA 봉투 사용 금지 지속가능에 역행
중소중견기업, 홀로 고군분투
R&D·친환경인증 어렵지만 시장성 크다

미네소타 트윈스는 에코 프로젝트로 지속가능에 앞장서고 있다. 네이처웍스(NatureWorks)와 파트너십을 맺고 플라스틱 맥주컵, 나초 트레이, 컵 및 빨대를 퇴비화가 가능한 바이오 플라스틱 원료인 인지오(Ingeo)로 만들어 팬들이 남은 음식과 함께 퇴비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같은 행보로 미네소타 트윈스의 폐기물 전환율이 2010년 30%에서 2015년 79%로 늘었다.

특히 스포츠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활용해 야구장을 찾는 팬들이 손쉽고 즐겁게 친환경에 참여하는 모습이 주목된다. 미네소타 트윈스는 북미 지역을 기반으로 창설된 그린 스포츠 얼라이언스(Green Sports Alliance(이하 ‘GSA’)’의 회원이다.

그린 스포츠 얼라이언스는 약 600여개의 글로벌 스포츠 단체가 가입해 함께 지속가능 활동과 기후 활동을 펼치고 있다. 반면 국내 기업들은 환경 정책이 전세계의 큰 물결과 역행하고 있다는 쓴 목소리를 높였다. 

A 중소 기업은 10년간에 걸쳐 친환경 생분해성 PLA(Poly Lactic Acid) 스판본드 부직포 소재를 개발했다. 현재 마스크나 항균 필터에 사용할 수 있는 멤브레인 소재를 개발 중이다.  기업 관계자는 “앞선 소재를 개발하고 피부 등 독성 테스트에 7억여원이 든다”며 “환경부 등에 대체 가능한 테스트 방법과 중소 중견기업에 지원이 있는지 알아보고 있는 중이다”고 말했다.

매출 50억원 이하 규모의 B 소상공인은 한지를 이용한 친환경 생분해 소재를 개발했다. 생분해 인증에만 2000여만원이 든다고 전했다. 중소중견기업과 소상공인들이 개발 부담을 고스란히 안고 소재를 개발해도 돌파해야 할 난관은 많다. 소비 시장 형성이 제대로 안 돼 있어서다. 

정부가 올해 ‘2050 탄소중립·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이행 원년으로 삼고 실천을 본격화할 것으로 예고했지만, 생분해 소재나 친환경 소재 개발을 하는 섬유패션기업들은 홀로 고군분투하고 있다.

환경부는 편의점을 포함한 종합소매업의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을 금지하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시행규칙)’을 개정해 공포했고 11월 24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동시에 환경부는 옥수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PLA 생분해성 봉투’ 사용도 금지했다.

올해 초 국내에 생분해성 봉투의 분리수거 체계가 없다는 이유를 내세워 PLA 생분해성 플라스틱 친환경 인증을 중단하겠다는 행정예고를 냈다. 이와같은 정책 변화로 관련 생산기업은 주문이 중단돼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취재과정에서 만난 기업 임원은 “분리 수거 체계를 만들고 소비자가 편하게 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다”며 “환경부가 수거 체계와 생분해 퇴비 산업시설이 없다는 것을 문제로 지적했지만 역으로 생분해 봉투 사용을 소비자에 권장해 활성화되면 퇴비산업 시설 기업이 생길 것이다”고 말했다. 섬유패션의 업스트림이 차별화된 소재로 친환경 시장 주도권을 가져갈 수 있다는 것이다. 

전세계가 지속가능경영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2050년 ‘탄소중립’과 ‘제로 웨이스트’를 달성하겠다 목표를 설정하고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시장성이 충분히 크다는 판단에서다.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BIS월드에 따르면 미국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시장은 작년 4억800만 달러(약 5800억원)에서 2026년 4억9700만 달러(약 7070억원)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중 미국의 바이오플라스틱 수입 비중은 2026년까지 연평균 약 5%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국내 기업이 바이오플라스틱과 생분해성 소재 등을 개발 발전시키면 미국과 유럽 등에 수출에 기회가 있다.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맞춰 기업들이 고군분투하는 것처럼 정부도 전문가와 기업 등과 소통해 다양한 해법을 제시하기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법인명 : ㈜한국섬유신문
  • 창간 : 1981-7-22 (주간)
  • 제호 : 한국섬유신문 /한국섬유신문i
  • 등록번호 : 서울 아03997
  • 등록일 : 2015-11-20
  • 발행일 : 2015-11-20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234 (밀스튜디오빌딩 4층)
  • 대표전화 : 02-326-3600
  • 팩스 : 02-326-2270
  •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종석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 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김선희 02-0326-3600 ktnews@ktnews.com
  • 한국섬유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한국섬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ktnews@ktnews.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