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호 초대석] ■ 박은관 시몬느 회장 - 창업 29년 매출 1조 돌파, “세계 명품핸드백 우리가 만들죠”
[3000호 초대석] ■ 박은관 시몬느 회장 - 창업 29년 매출 1조 돌파, “세계 명품핸드백 우리가 만들죠”
  • 정정숙 기자 / jjs@ktnews.com
  • 승인 2016.05.20 15: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몬느는 사고 싶고, 투자하고 싶고, 일하고 싶은 선망의 기업”
지갑·가슴·머리 채우는 비전 공유…최근 3년 연평균 26% 성장
자체브랜드 ‘0914’ 다음 세대 위한 글로벌 브랜드로

제품을 사고 싶고, 투자하고 싶고 일하고 싶은 기업. 시몬느얘기다. 시몬느는 29년 만인 올해 매출 1조원을 돌파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경기도 의왕시 고천동에 있는 시몬느 본사 건물에 들어서자 푸르른 나무와 물이 흐르는 수변정원, 시원한 바람이 기자를 먼저 반겼다. 탁트인 공간의 건물과 자연 풍경이 한 눈에 들어왔다. 시몬느 사옥은 2003년 한국건축문화대상을 받았고 업계에서도 일하고 싶은 기업으로 유명하다. 건물 내외부 곳곳에는 다양한 회화와 조각 작품이 공존한다. 사람은 건물을 만들고 건물은 사람을 만든다. 지난 17일 자연 친화적인 이 공간과 닮은 박은관 회장을 그의 사무실에서 만났다.

“아버지가 60년동안 정원을 가꿨다. 나무, 꽃 등을 많이 보고 자랐다. 자연스럽게 아웃도어 공간을 좋아한다. 해외 브랜드들과 30여년 거래하다보니 유럽 등지의 인테리어 등을 눈여겨 본 영향도 컸다. 직원들이 가까운 곳으로 나와 손을 뻗으면 비나 눈을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었다.” 시몬느는 1987년 설립 첫해 400만불에서 지금은 10억 달러를 넘는 대기업으로 성장했다. DKNY, 마이클코어스, 마크제이콥스 등 전세계 글로벌 명품 핸드백 브랜드를 생산하는 시몬느는 전세계 명품 핸드백 제조시장의 10%, 미국 시장의 30%를 점유하고 있다.


시몬느 매출은 29년 동안 2만5000배 늘었고 최근 3년간(2012~2014년) 연평균 26%씩 성장했다. 그 성장배경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18만개 핸드백 스타일을 만들면서 터득한 기술과 제조방법의 혁신이 있다. 또한 직원들에게 지갑, 가슴, 머리를 채워주는 회사 비전이 엿보인다. 혁신에 혁신을 거듭하며 다음 세대를 위해 느림의 미학을 실천하는 시몬느 성장 비결을 들어보자.

▲지금까지의 성장비결은.
“업계에서는 시몬느를 풀서비스컴퍼니(Full Service Company)라 부른다. 보통 ODM 공장은 제조 설비와 제품 생산, 품질관리 능력이 노하우다. 시몬느는 소재 소싱, 디자인 개발, 브랜드 컨셉까지 잡아준다. DKNY 28년, 마크제이콥스 18년, 마이클코어스는 14년 동안 파트너로 일하고 있다. 유명 브랜드는 자기들 브랜드 정체성, 판타지 스토리를 갖고 있고 시몬느는 플랫폼 역할을 해준다. 포지셔닝 개발, 가격대, 컨셉 등을 시몬느가 제공한다.

이것이 글로벌 시장에서 핸드백 제조로 1위를 한 비결이다. 작년 매출 1조원은 공장도 가격이다. 소비자 리테일 가격은 7조원 정도다. 마이클 코어스 회장 겸 CEO 존 아이돌(John D. Idol)은 시몬느 정체성을 가장 잘 말해줬다. 그는 나에게 서로 잘하는 것을 하자고 제안했다. 마이클 코어스는 브랜드 전문가이며 핸드백 마케팅 전문가다. 시몬느는 제품, 소재 디자인 개발을 해 제품을 어떻게 하면 잘 만드는지 안다는 의미다. 우리는 수평적 동반자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지혜와 경험을 나눈다.

지금까지 18만개의 핸드백 스타일을 만들었다. 국내 350명 직원들이 시몬느의 큰 자산이다. 직원들이 핸드백을 만든 경력을 모두 합치면 5300년이다. 시몬느는 산업 기술이 집적된 기업이다. 29년 동안 공장에서는 끊임없이 도구, 공구 제조방법 개선과 부분 기계화 등이 이뤄졌다. 손으로만 가능했던 공정을 컴퓨터 미싱 공정으로 바꿨다. 대량생산과 함께 표준화시켰다. 망치 종류만 40여가지에 이른다.”

▲급변하는 세계 패션시장에서 향후 10년을 내다보는 성장 전략은 무엇인가.
“시몬느는 OEM·ODM 제조업을 한다. 브랜드 인큐베이팅 힘과 시장 장악력이 있다. 5년 정도 지나면 시몬느 포지셔닝이 달라질 수 있다. 시몬느는 브랜드 인큐베이팅, 경쟁력 있는 브랜드 M&A, 자체 브랜드 육성 등에 투자한다.

재능이 뛰어난데 장사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이나 자금이 없어서 브랜딩을 못하는 사람들을 인큐베이팅 한다. 0914 도산 플래그십스토어에 입점돼 있는 이탈리아 액세서리 브랜드 ‘스테파니아 프라마’가 대표적 사례다. 브랜드 M&A는 시몬느 인베스트먼트 자산운영사가 맡는다.”

▲K한류와 더불어 한국 패션업체들의 해외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를 발판으로 한국업체들이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가 되기 위한 과제는 어떤 것인가. 또 명품이란 무엇이라고 보는가.
“상품은 시대에 상관없이 디자인, 품질, 가격이 좋으면 잘 팔린다. 그러나 글로벌 명품 브랜드는 여기에 헤리티지, 철학, 전통 등 스토리와 판타지가 있어야 탄생한다. 또 브랜드가 속한 사회 문화적 성숙도가 필요하다. 자체브랜드 ‘0914’는 상품의 3대 요소가 갖춰져 있어 경쟁력이 있다. 이제는 서울에 뿌리를 둔 브랜드가 나올 만한 시기라고 생각했다. 0914는 29년동안 18만개의 다른 핸드백을 만든 산업적 유산을 배경으로 한 시즌에 600여 종류를 개발한다. 또 손의 힘과 땀의 정성이 담긴 독창성이 있는 브랜드다. 다음 세대를 위한 긴 여정을 보고 런칭했다.

글로벌 유명 브랜드들과 30년동안 많은 거래를 했지만 아직도 내 자켓에서는 기름 냄새가 난다. 로마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듯이 글로벌 패션 브랜드가 탄생하기까지는 20년은 걸린다. 은퇴하기 전까지는 꽃이나 열매를 딴다는 과욕은 부리지 않는다. 0914는 다음 세대를 위한 프로젝트다.”

▲높은 인건비 때문에 많은 섬유패션 업체들이 해외로 생산기지를 이전하고 있다. 시몬느는 인도네시아, 중국, 베트남 등지에 진출했다. 생산품목, 수출화 전략 등 위주로 진출 국가별 차별화 전략에 대해 설명해 달라.
“한국과 중국이 수교되기 전인 1990년 중국에 진출했다. 지금은 인도네시아, 중국,베트남 등 총 7개 공장이 해외에 있다. 3만여명의 직원들이 있다. 시몬느 공장에서 만드는 상품은 가격이 높다. 생산물량의 20~30%는 한국에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26년전 서울 근교에서는 공장 3개 정도를 지을 20만평의 땅과 3만명의 인력을 구할 수 없었다. 해외 생산기지 공장별 차이는 거의 없다. 올해부터 인도네시아는 미국에 수출할 때 핸드백 관세가 없어졌다. 올해 6000평 규모의 인도네시아 공장을 하나 더 짓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올해로 20년 됐다.”

▲시몬느가 매출 1조원을 넘는 기업이 됐다. 좋은 인재를 끌어들여 성장할 수 있었던 비결은.
“시몬느 국내 직원은 350명이다. 이중 20년이상 경력자가 70명이다. 10년 이상된 직원은 180명이다. 핸드백을 제조하는 시몬느는 소프트웨어 장사에 해당한다. 패션업종은 경험, 감각, 끼가 중요하다. 내가 할 역할은 그런 친구들이 신나게 뛰어놀 수 있는 마당을 만드는 것이다. 회사에 마냥 충성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시몬느는 외부에서 제품을 사고 싶고, 기업에 투자하고 싶고, 일하고 싶은 기업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특히 직원들에게 지갑, 머리, 가슴 등의 3가지 채워주기 운동을 한다. 두둑한 연봉이 지갑 채워주기에 해당한다.

대표나 임원들이 직원들에게 동기부여를 줄 수 있어야 한다. 이 곳에 있든 더 좋은 직장으로 옮기든 직원들은 얻을 것이 있으면 동기를 부여받는다. 그것이 머리 채우기 운동이다. 마지막으로 가슴 채워주기는 같은 곳을 바라보고 있다는 비전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우리가 같은 방향을 보고 있다는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법인명 : ㈜한국섬유신문
  • 창간 : 1981-7-22 (주간)
  • 제호 : 한국섬유신문 /한국섬유신문i
  • 등록번호 : 서울 아03997
  • 등록일 : 2015-11-20
  • 발행일 : 2015-11-20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234 (밀스튜디오빌딩 4층)
  • 대표전화 : 02-326-3600
  • 팩스 : 02-326-2270
  •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종석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 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김선희 02-0326-3600 ktnews@ktnews.com
  • 한국섬유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한국섬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ktnews@ktnews.com
ND소프트